2027 세계청년대회, 서울에서 열리며 대규모 혼란 예고
2027년 세계청년대회, 서울에서의 혼란 우려 심각
2027년 세계청년대회(World Youth Conference)가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인 가운데, 도시 전역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큰 혼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과거 대회 개최지의 경험을 바탕으로, 서울 역시 대규모 교통 체증, 숙박 부족, 치안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대규모 인원 유입은 8월의 무더위와 맞물려 열사병과 건강 문제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일으키고 있다. 의료진과 냉방 대책 마련이 필수적이지만, 준비가 충분할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이러한 규모의 행사로 서울에 관광객 유치와 경제적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교통과 시설 관리에 큰 부담을 줄 것이 분명하다. 과거 2016년 폴란드 크라쿠프에서 열린 청년대회 당시 도심의 교통이 극심한 혼잡을 겪었던 사례가 있다. 이번 서울 대회에서도 주요 교차로와 대중교통의 극심한 혼잡이 예상된다.
특히, 서울은 이미 일상적으로 교통 정체가 빈번한 도시이다. 대규모 행사가 열리면 일반 시민들이 겪게 될 불편은 명백하다. 경찰은 교통 흐름을 원활히 유지하기 위해 교통 통제와 특별 대중교통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으나, 이러한 조치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많은 시민들은 출퇴근 시간대의 혼란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깊은 걱정을 하고 있다.
숙박 문제 또한 심각한 도전 과제이다. 세계 각국에서 몰려올 대규모 인원을 수용하기에는 기존의 호텔과 게스트하우스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민간 숙박 공유 서비스를 통한 해결책이 검토되고 있으나, 이는 법적 및 안전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치안 문제도 중요하다. 수많은 외국인이 몰릴 경우 안전 문제가 대두될 가능성이 크다. 서울시는 이번 대회를 계기로 CCTV 추가 설치와 순찰 인력 강화를 계획하고 있지만, 이러한 조치가 모든 상황을 통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과거 2013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대회에서도 시위로 인한 혼란이 발생했던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서울 대회에서도 유사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사건사고 발생 시 그 책임은 대회 조직위원회가 져야 하며, 서울시는 도시 관리와 치안 측면에서 협력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 시민들은 기대와 불안이 교차하는 가운데 이번 세계청년대회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조직위원회가 계약직 직원을 채용할 때 천주교 세례 여부를 조건으로 삼은 것은 종교적 차별 문제로 큰 논란이 되고 있다. 이는 공정한 채용 원칙에 어긋나는 행위로, 서울시가 이를 지원하는 것은 결코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종교 행사를 위해 서울시의 부적절한 지원이나 세금 낭비가 발생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청년들이 모여 평화와 연대를 다지는 긍정적인 의미의 행사가 되기를 바라면서도, 실질적인 도시 운영 측면에서는 심각한 우려가 남아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