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가톨릭대학교 신학생 성추행 사건, 교회 상층부의 은폐 의혹
인천가톨릭대학교에서 발생한 신학생 성추행 사건이 1996년부터 1998년 사이에 당시 총장이었던 최기복 신부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사건은 교회 상층부에서 은폐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사건은 2018년 한 주간지의 단독 보도를 통해 처음으로 세상에 알려졌으며, 해당 보도는 인천교구 소속 젊은 신부들의 잇따른 죽음과 성추행 사건 간의 연관성을 시사했습니다. 이후 SBS '그것이 알고싶다' 제작진의 조사로 최 신부의 성추행 행위가 구체적으로 드러났습니다.
최기복 신부는 인천가톨릭대학교 초대 총장으로 재직하며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 신학생들을 성추행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피해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그는 개인 면담 중 신체적 접촉을 시도하거나 외출 시 신학생의 신체를 만지는 등의 행동을 일삼았습니다. 특히, 한 피해자는 최 신부가 운전기사가 있는 상황에서도 신학생을 추행했다고 증언했습니다.
또한, 최 신부는 신학생들과 함께한 합숙 중에도 강제로 성적인 접촉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피해자들은 이러한 행위가 교회 내부에서 은폐되었고, 최 신부는 총장직에서 물러났지만 형사처벌을 받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그는 다른 지역에서 수도회를 운영하며 계속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사건이 공론화된 이후 인천교구는 최기복 신부를 교구에서 추방했으나, 사제직은 유지한 채 다른 지역의 수도회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조치했습니다. 이는 형사처벌이나 공적인 면직 없이 이루어진 것으로, 결국 사건이 더욱 확대된 후에야 인천교구는 최 신부의 성추행 사실을 공식 확인하고 모든 직책에서 면직했습니다. 또한, 인천가톨릭대학교 홈페이지에서도 그의 이름이 삭제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사건이 드러난 이후에야 이루어졌으며, 그동안 피해자들은 고통 속에서 침묵을 강요받았습니다.
교구는 사태 파악이 늦어진 이유로 당시 교구장의 결정과 조사위원장의 사망 등을 언급하며 조사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해명했습니다. 이 사건은 한국 사회에서 미투 운동과 맞물려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교회의 성범죄 문제는 개인의 일탈이 아닌 가톨릭 구조적 문제임을 드러냈습니다. 전문가들은 신학교에서 성폭력 예방을 위한 명확한 지침과 피해자 보호를 위한 체계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교회가 성추행 문제에 대해 보다 투명하고 책임 있는 자세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